법과 생활
article thumbnail

육아휴직은 근로자의 법적 권리로, 회사가 이를 거부하는 것은 명백한 불법입니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여전히 육아휴직 거부 사례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회사가 육아휴직을 거절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와 이에 대한 대처 방안을 알아보겠습니다.


육아휴직은 법으로 보장된 권리

육아휴직은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제19조에 의해 보장된 권리입니다.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를 둔 근로자는 누구나 육아휴직을 신청할 수 있으며, 회사는 이를 허용해야 합니다.

  • 회사가 육아휴직을 거부하면 최대 5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 육아휴직을 이유로 해고하거나 불리한 처우를 하면 최대 3년 이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 벌금에 처할 수 있습니다.
  • 육아휴직 기간 동안 근로자는 해고되지 않으며, 복직 시 동일한 업무나 임금을 보장받아야 합니다.
 
반응형

회사가 육아휴직을 거부할 경우 발생하는 문제

회사가 육아휴직 신청을 거부하면 다음과 같은 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법적 처벌: 노동청에 신고될 경우 회사는 형사처벌 대상이 됩니다. 이후 검찰 송치 및 벌금형이 내려질 수 있습니다.
  • 근로자의 권리 침해: 근로자는 육아휴직 신청 후 출근하지 않아도 되며, 이를 무단결근으로 처리하는 것은 불법입니다.
  • 실업급여 지급: 회사의 거부로 인해 퇴사하게 된 경우,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정당한 사유로 인정됩니다.

육아휴직 거부에 대한 대처 방법

회사가 육아휴직을 거부한다면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

  1. 신고: 사업장 관할 고용노동지청이나 고용노동부 홈페이지의 ‘익명 신고센터’를 통해 신고합니다.
  2. 내용증명 발송: 육아휴직 신청 내용을 내용증명으로 회사에 전달하여 기록으로 남깁니다.
  3. 증거 확보: 녹취록, 이메일, 문자 메시지 등 회사가 육아휴직을 거부했음을 입증할 자료를 준비합니다.
  4. 법적 조치: 필요시 노동전문 변호사와 상담하여 민·형사 소송을 진행합니다.

육아휴직 관련 주요 법령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 제19조: 사업주는 근로자가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를 양육하기 위해 휴직을 신청하면 이를 허용해야 합니다. 이를 위반하면 500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 제37조: 사업주는 육아휴직 기간 동안 근로자를 해고하거나 불리한 처우를 할 수 없습니다. 위반 시 형사처벌 대상이 됩니다.

더 알아볼 내용

육아휴직 외에도 출산휴가, 가족돌봄 휴가 등 모성보호제도는 근로자의 중요한 권리입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이러한 권리가 제대로 보장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정부와 기업 모두의 노력이 필요하며, 근로자 스스로도 자신의 권리를 적극적으로 보호해야 합니다.


마치며

육아휴직은 단순히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저출산 문제 해결과 일·가정 양립을 위한 중요한 제도입니다. 회사의 부당한 거절이 있을 경우 법적 절차를 통해 자신의 권리를 반드시 지키시길 바랍니다. 더 나은 근무 환경과 사회적 인식을 위해 우리 모두 노력해야 할 때입니다.

profile

법과 생활

@Law and Life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