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과 생활
article thumbnail

 

전북, 2036 하계올림픽 국내 대표 후보지로 선정!

2025년 2월, 대한체육회 대의원 총회에서 전북특별자치도가 서울을 압도적인 표차(49대 11)로 제치고 2036년 하계올림픽 국내 유치 후보 도시로 확정되었습니다. 이는 수도권 집중을 넘어선 비수도권 연대 전략의 성공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2036년 올림픽 전북 유치 가능성, 현실과 전망

전북이 국내 후보지로 선정된 배경

  • 대한체육회 대의원 총회에서 전북이 서울을 큰 표차로 이김
  • 대구(육상), 광주(수영·양궁), 충북(체조), 충남(테니스), 전남(서핑) 등 지방 도시와의 연대를 통한 분산 개최 전략
  • 기존 인프라 활용 및 경기장 신설 최소화로 비용 절감지속가능성 강조
  •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전북의 문화 인프라를 적극 홍보

 

전북 유치 전략
  • 비수도권 연대(대구, 광주, 충청 등)
  • 기존 경기장 활용, 신설 최소화
  • 지역 균형 발전 및 국가적 상징성 부각
  • 문화·관광 자원 연계
서울 전략(경쟁 당시)
  • 1988년 올림픽 개최 경험 및 인지도
  • 기존 인프라 리모델링
  • 잠실 스포츠·마이스 복합공간 개발
  • 도심 랜드마크 활용(광화문, 한강 등)

 

국제 경쟁 상황과 전북의 과제

  • 아시아 개최 가능성 높음: 대륙별 순환 원칙에 따라 2036년은 아시아가 유력
  • 경쟁 도시: 인도(아마다바드-뉴델리), 카타르(도하), 인도네시아(누산타라), 사우디아라비아(리야드), 중국(칭다오), 독일(베를린), 이집트(카이로), 멕시코(과달라하라-멕시코시티), 폴란드(바르샤바) 등
  • IOC의 비용 절감·분산 개최 기조와 전북의 전략이 부합
  • 국제 경쟁에서 승리하려면 정부 차원의 전폭적 지원국가 브랜드 제고가 필수
주목! 전북의 강점과 과제
  • 강점: 지방 연대, 비용 절감 전략, 문화 인프라, 국가균형발전 상징성
  • 과제: 국제 경쟁 도시 대비 인지도, 대규모 인프라 확충, 정부 지원 확보, 잼버리 실패 경험 극복
반응형

전북 올림픽 유치, 왜 의미가 큰가?

  • 1988년 서울올림픽 이후 48년 만에 대한민국 두 번째 하계올림픽 도전
  • 지역 균형 발전과 지방 도시의 성장 기회
  • 전북 및 연계 도시의 글로벌 브랜드 가치 상승
  • 국가적 대형 이벤트를 통한 경제·관광 활성화

전북 올림픽 유치, 왜 의미가 큰가?

 

관련 논문 및 전문가 의견

  • 이상동 교수(한국체육학회, 2024): "지방 분산 개최와 지역 연대는 올림픽의 지속가능성과 사회적 수용성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다."
  • 국제올림픽위원회(IOC) 2020 개혁안: "기존 인프라 활용과 비용 절감, 지역사회와의 연계 강화가 미래 올림픽 유치의 핵심 기준임을 명시"

 

더 알아볼 내용

  • 2036년 올림픽 개최지는 2026년경 최종 결정 예정
  • 전북이 국내 후보지로 확정된 만큼, 앞으로는 국제 경쟁 도시들과의 치열한 유치전이 펼쳐질 전망
  • 정부와 국회의 적극적 지원, 국민적 공감대 형성이 중요
요약: 전북은 비수도권 연대와 비용 절감, 문화 인프라를 앞세워 국내 후보지로 선정됐으며, 아시아 개최 가능성과 IOC의 정책 변화에 힘입어 국제 유치전에서도 충분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다만, 인지도와 인프라, 정부 지원이 관건입니다.

 

 

마치며

2036년 하계올림픽 전북 유치의 가능성은 과거와 달리 매우 현실적인 단계에 접어들었습니다. 국내 대표 후보지로 확정된 전북은 이제 국제 경쟁 무대에서 대한민국을 대표하게 되었습니다. 지방 연대와 국가 균형 발전, 비용 절감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전략이 국제올림픽위원회의 기준과 맞물리면서, 전북이 세계 도시들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는 기회가 열렸습니다. 앞으로 정부와 국민의 지지, 그리고 국제사회에 전북만의 매력과 역량을 어떻게 어필하느냐가 유치 성공의 관건이 될 것입니다.

profile

법과 생활

@Law and Life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